Cohort 분석 개념 및 사용법
- Cohort 분석이란?
Cohort 분석은 특정한 기준(예: 가입 시기, 첫 구매일, 특정 행동을 수행한 날짜 등)에 따라 사용자를 그룹으로 묶고, 시간이 지나면서 이 그룹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.
주로 사용자 유지율(retention), 전환율(conversion rate), 구매 패턴 변화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, 2024년 1월에 가입한 사용자 그룹과 2024년 2월에 가입한 사용자 그룹이 각각 몇 개월 후에도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지 비교하면, 가입 시기의 차이에 따른 유지율 변화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.
⸻
- Cohort 분석의 주요 목적
• 사용자 유지율 분석: 특정 기간에 유입된 사용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확인
• 마케팅 효과 분석: 특정 캠페인이나 프로모션이 사용자 유지 및 전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
• 제품 개선 및 사용자 경험 향상: 제품 업데이트나 개선 후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
• 매출 및 수익 증가 전략 수립: 사용자별 구매 패턴과 라이프사이클 분석을 통한 수익 극대화
⸻
- Cohort 분석의 종류
Cohort 분석은 분석 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.
1. Time-based Cohort (시간 기반 코호트)
• 특정한 시점에서 사용자들이 유입된 후, 일정 기간 동안 행동을 분석하는 방식
• 예: 2024년 1월 가입 사용자 그룹 vs. 2024년 2월 가입 사용자 그룹 비교
2. Behavior-based Cohort (행동 기반 코호트)
• 특정한 행동(예: 첫 구매, 첫 로그인, 특정 기능 사용)을 수행한 사용자 그룹을 기준으로 분석
• 예: 특정 프로모션을 통해 유입된 고객 vs. 자연 유입된 고객 비교
3. Acquisition Cohort (유입 기반 코호트)
• 고객이 언제, 어떤 마케팅 채널을 통해 유입되었는지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분석
• 예: Facebook 광고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 vs. 구글 검색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 비교
⸻
- Cohort 분석 방법
Cohort 분석을 수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.
① 데이터 수집
• 사용자 ID, 가입일, 첫 구매일, 활동 데이터(로그인, 구매, 클릭 등)를 수집
② Cohort 기준 설정
• 예: “가입 월”을 기준으로 Cohort 그룹 생성
③ Cohort Matrix(코호트 매트릭스) 생성
• X축: 경과한 시간(예: 가입 후 1개월, 2개월, …)
• Y축: Cohort 그룹(예: 가입 월별 그룹)
• 셀 값: 각 Cohort의 유지율 또는 전환율
④ 데이터 시각화
• 테이블, 그래프, 히트맵 등을 활용하여 트렌드 분석
⸻
- Cohort 분석 예시
📌 예제 1: 사용자 유지율 분석
• 1월에 가입한 사용자 중 4개월 후에도 남아 있는 비율은 50%
• 2월에 가입한 사용자는 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→ 해당 월의 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이었을 가능성이 있음
📌 예제 2: 구매 패턴 분석
• 1월에 첫 구매한 사용자 중 3개월 후에도 다시 구매하는 비율은 **20%**로 낮음
• 2월 구매 Cohort의 재구매율이 가장 높음 → 해당 월의 프로모션이 효과적이었을 가능성 있음
⸻
- Cohort 분석 활용 사례
• 스타트업 & SaaS: 가입 Cohort를 기반으로 유지율과 활성 사용자 분석
• 이커머스: 첫 구매 후 재구매 Cohort 분석을 통해 충성 고객 식별
• 모바일 앱: 특정 기능을 사용한 유저 Cohort를 분석하여 사용률 증가 전략 수립
• 마케팅: 광고 채널별 Cohort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유입 경로 파악
⸻
- Cohort 분석을 위한 도구
Cohort 분석을 실행하려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• Google Analytics → 사용자 유지율 Cohort 분석 가능
• Excel / Google Sheets → 수작업 Cohort 매트릭스 분석
• SQL (BigQuery, PostgreSQL 등) → 대규모 데이터에서 Cohort 분석
• BI 툴 (Tableau, Power BI, Looker) → 시각화 중심의 Cohort 분석
⸻
- 결론
Cohort 분석은 데이터를 단순 집계하는 것이 아니라,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고 그룹별 비교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강력한 분석 방법입니다. 이를 활용하면 고객 유지 전략 개선, 제품 개선, 마케팅 ROI 최적화 등 다양한 의사결정을 데이터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.
'머신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ARRR 프레임워크에서 리텐션(Retention)의 의미는? (0) | 2025.03.20 |
---|---|
AARRR(해적지표) 프레임워크란? (0) | 2025.03.20 |
A/B 테스트, 독립변수, 종속변수, 이중차분법 (0) | 2025.03.19 |
[통계학] 평균, 분산, 표준편차 (0) | 2025.03.18 |
[통계학] 도수분포표 (0) | 2025.03.18 |